Post

이산수학 2. 명제와 논리

1. 명제

  • 진리값(truth value)
    • 참(true, \(T\))이나 거짓(false, \(F\))를 가리키는 값
  • 명제(proposition)
    • 객관적인 기준으로 진리값을 구분할 수 있는 문장
    • \(p\), \(q\), \(r\)처럼 소문자로 표현
    • 예)
      • \(10 \gt 5\): 참인 명제
      • \(5+2=8\): 거짓인 명제
      • \(x \gt 1\): \(x\)가 뭔지 알 수 없으므로 명제가 아님

2. 논리 연산자

  • 합성 명제(compound proposition)
    • 하나 이상의 명제들이 논리 연산자에 의해 결합된 명제
    • 예)
      • $\neg p$
      • $p \land q$
  • 진리표(truth table)
    • 합성 명제를 구성하는 명제의 진리값에 따른 논리 연산 결과를 나타낸 표
    • 예)

      \[\begin{array}{|c c|c|} p & q & p\land q\\ \hline T & T & T\\ T & F & F\\ F & T & F\\ F & F & F\\ \end{array}\]

부정

  • 부정(not): \(\neg p\) 또는 \(\sim p\)​
    • 단항 연산자
    • \(p\)의 부정: \(p\)가 아니다
    • 진리표

      \[\begin{array}{|c|c|} p & \neg p\\ \hline T & F\\ F & T \end{array}\]
    • 예)
      • \(p\): 뉴욕은 미국의 동부에 있다., \(\neg p\): 뉴욕은 미국의 동부에 있지 않다.
      • \(p\): \(3+4=5\), \(\neg p\): \(3 + 4 \neq 5\)

논리곱

  • 논리곱(and): \(p \land q\)
    • 이항 연산자
    • \(p\) 그리고 \(q\)
    • 진리표

      \[\begin{array}{|c c|c|} p & q & p\land q\\ \hline T & T & T\\ T & F & F\\ F & T & F\\ F & F & F\\ \end{array}\]
    • 예)
      • \(p\): 지구는 태양의 행성이다.(\(T\))
      • \(q\): 달의 실제 크기는 지구보다 크다.(\(F\))
      • \(p \land q\): 지구는 태양의 행성이다. 그리고 달의 실제 크기는 지구보다 크다.(\(F\))

논리합

  • 논리합(or): \(p \lor q\)
    • 이항 연산자
    • \(p\) 또는 \(q\)
    • 진리표

      \[\begin{array}{|c c|c|} p & q & p\lor q\\ \hline T & T & T\\ T & F & T\\ F & T & T\\ F & F & F\\ \end{array}\]
    • 예)
      • \(p\): 지구는 태양의 행성이다.(\(T\))
      • \(q\): 달의 실제 크기는 지구보다 크다.(\(F\))
      • \(p \lor q\): 지구는 태양의 행성이다. 또는 달의 실제 크기는 지구보다 크다.(\(T\))

배타적 논리합

  • 배타적 논리합(xor): \(p \oplus q\)
    • 이항 연산자
    • 같으면 \(F\), 다르면 \(T\)
    • \(p \oplus q \equiv (\neg p \land q) \lor (p \land \neg q)\)처럼 연산
    • 진리표

      \[\begin{array}{|c c|c|} p & q & p\oplus q\\ \hline T & T & F\\ T & F & T\\ F & T & T\\ F & F & F\\ \end{array}\]

3. 조건 명제

  • 조건 명제(conditional proposition): \(p \rightarrow q\)
    • 이항 연산자
    • \(p\)​이면 \(q\)​​​이다.
    • \(p \rightarrow q \equiv \neg(p \land \neg q)\)처럼 연산
    • 진리표

      \[\begin{array}{|c c|c|} p & q & p\rightarrow q\\ \hline T & T & T\\ T & F & F\\ F & T & T\\ F & F & T\\ \end{array}\]
    • 예)
      • \(p\): \(1 + 2 = 5\)(\(F\))
      • \(q\): \(2 + 3 = 5\)(\(T\)​)
      • \(p \rightarrow q\): \(1 + 2 = 5\)이면 \(2 + 3 = 5\)(\(T\))
  • 역(converse)
    • 조건 명제 \(p \rightarrow q\)에 대하여, \(q \rightarrow p\)
    • 예)
      • \(p\): .지구의 자전축은 기울어져 있다.
      • \(q\): 지구의 계절이 바뀐다.
      • \(p \rightarrow q\):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다면, 지구의 계절은 바뀐다.
      • \(q \rightarrow p\): 지구의 계절이 바뀐다면 지구의 자전축은 기울어져 있다.
  • 이(inverse)
    • 조건 명제 \(p \rightarrow q\)에 대하여, \(\neg p \rightarrow \neg q\)
  • 대우(contraposition)
    • 조건 명제 \(p \rightarrow q\)에 대하여, \(\neg q \rightarrow \neg p\)​
    • 역과 이를 모두 연산한 결과
    • \(p \rightarrow q\)​의 진리값와 대우의 진리값은 같음

쌍방조건 명제

  • 쌍방건 명제(biconditional proposition): \(p \leftrightarrow q\)

    • 이항 연산자
    • \(p\)이면 \(q\)이며, 반대도 성립한다.
    • \(p\)는 \(q\)​의 필요충분조건
    • \(p \leftrightarrow q \equiv (p \rightarrow q) \land (q \rightarrow p)\)​처럼 연산
      • \(p \leftrightarrow q \equiv \neg(p \oplus q)\)처럼도 가능
    • 진리표 \(\begin{array}{|c c|c|} p & q & p\leftrightarrow q\\ \hline T & T & T\\ T & F & F\\ F & T & F\\ F & F & T\\ \end{array}\)

4. 합성 명제

논리 연산자의 우선순위

  1. \(\neg\)(not)
  2. \(\land\)(and)
  3. \(\lor\)(or)
  4. \(\oplus\)(xor)
  5. \(\rightarrow\)(implies)
  6. \(\leftrightarrow\)(biconditional)
  • 예)
    • 합성 명제: \(\neg (p \land q) \oplus (\neg p \lor q)\)
    • 진리표

      \[\begin{array}{|c|c|c|c|c|c|c|} p & q & \neg p & p \land q & \neg (p \land q) & \neg p \lor q & \neg (p \land q) \oplus (\neg p \lor q) \\ \hline T & T & F & T & F & T & T \\ T & F & F & F & T & F & T \\ F & T & T & F & T & T & T \\ F & F & T & F & T & T & F \\ \end{array}\]

합성 명제의 종류

  • 항진 명제(tautology, \(\mathcal{T}\)​)
    • 진리값에 상관 없이 합성 명제의 진리값이 항상 참인 명제
    • 예)
      • 합성 명제: \(p \lor \neg p\)
      • 진리표

        \[\begin{array}{|c c|c|} p & \neg p & p \lor \neg p\\ \hline T & F & T\\ F & T & T\\ \end{array}\]
  • 모순 명제(contradiction, \(\mathcal{F}\))
    • 진리값에 상관 없이 합성 명제의 진리값이 항상 거짓인 명제
    • 예)
      • 합성 명제: \(p \land \neg p\)
      • 진리표

        \[\begin{array}{|c c|c|} p & \neg p & p \land \neg p\\ \hline T & F & F\\ F & T & F\\ \end{array}\]
  • 사건 명제(contingency)
    • 항진 명제도, 모순 명제도 아닌 합성 명제

5. 논리적 동치

  • 논리적 동치(logically equivalence, \(P \equiv Q\))
    • 두 합성 명제의 진리값이 같은 경우

진리표를 이용한 증명

  • xor: \(p \oplus q \equiv (\neg p \land q) \lor (p \land \neg q)\)
  • 진리표

    \[\begin{array}{|c|c|c|c|c|c|c|c|} p & q & \neg p & \neg q & \neg p \land q & p \land \neg q & (\neg p \land q) \lor (p \land \neg q) & p \oplus q \\ \hline T & T & F & F & F & F & F & F \\ T & F & F & T & F & T & T & T \\ F & T & T & F & T & F & T & T \\ F & F & T & T & F & F & F & F \\ \end{array}\]
    • 오른쪽 두 합성 명제의 진리값이 완전히 같으므로 동치

논리적 동치법칙을 이용한 증명

항등법칙(Identity Laws)

  • $ p \land \mathcal{T} \equiv p $
  • $ p \lor \mathcal{F} \equiv p $

지배법칙(Domination Laws)

  • $ p \land \mathcal{F} \equiv \mathcal{F} $
  • $ p \lor \mathcal{T} \equiv \mathcal{T} $

부정법칙(Negation Laws)

  • $ p \land \neg p \equiv \mathcal{F} $
  • $ p \lor \neg p \equiv \mathcal{T} $

이중 부정법칙(Double Negation Law)

  • $ \neg(\neg p) \equiv p $

멱등법칙(Idempotent Laws)

  • $ p \land p \equiv p $
  • $ p \lor p \equiv p $

교환법칙(Commutative Laws)

  • $ p \land q \equiv q \land p $
  • $ p \lor q \equiv q \lor p $

결합법칙(Associative Laws)

  • $ (p \land q) \land r \equiv p \land (q \land r) $
  • $ (p \lor q) \lor r \equiv p \lor (q \lor r) $

분배법칙(Distributive Laws)

  • $ p \land (q \lor r) \equiv (p \land q) \lor (p \land r) $
  • $ p \lor (q \land r) \equiv (p \lor q) \land (p \lor r) $

드모르간의 법칙(De Morgan’s Laws)

  • $ \neg(p \land q) \equiv \neg p \lor \neg q $
  • $ \neg(p \lor q) \equiv \neg p \land \neg q $

흡수법칙(Absorption Laws)

  • $ p \lor (p \land q) \equiv p $
  • $ p \land (p \lor q) \equiv p $

합축법칙(Consensus Theorem)

  • $ (p \land q) \lor (\neg p \land r) \lor (q \land r) \equiv (p \land q) \lor (\neg p \land r) $

예) 흡수법칙 증명

\[\begin{align*} p \lor (p \land q) &\equiv (p \lor \mathcal{F}) \land (p \lor q) && (\because \text{Identity Laws})\\ & \equiv p \lor (\mathcal{F} \land q) && (\because \text{Distributive Laws})\\ & \equiv p \lor \mathcal{F} && (\because \text{Domination Laws})\\ & \equiv p && (\because \text{Identity Laws})\\ \end{align*}\]

6. 명제 함수와 한정자

명제 함수

  • 명제 함수(propositional function, \(P(x)\))
    • 논의 영역이 주어진 변수 \(x\)를 포함하여 진리값을 판별할 수 있는 문장
  • 논의 영역(domain of discource, \(D\))
    • 변수 \(x\)의 범위나 값
  • 예)
    • \(x=3\)일 때, \(P(x): x^2-3x=0\)(\(T\))
    • \(x=-5, y=1\)일 때, \(Q(x, y): x \gt 3y\)(\(F\))

한정자

  • 전체 한정자(universal quantifier, \(\forall\))
    • 논의 영역 \(D\)에 포함되는 모든 값 중 전체
    • 모든 \(x\)에 대하여 \(P(x)\)이다.(\(\forall x P(x)\))
    • 예) 논의 영역 \(D\)가 정수 집합(\(\mathbb{R}\))일 때
      • \(P(x)\): \(x\)는 실수이다. \(\forall x P(x)\): \(F\)
      • \(P(x)\): \(x\)는 자연수이다. \(\forall x P(x)\): \(T\)
  • 존재 한정자(existential quantifier, \(\exists\))
    • 논의 영역 \(D\)에 포함되는 모든 값 중 일부
    • 어떤 \(x\)에 대하여 \(P(x)$이다.(\)\(\exists x P(x)\))
    • 예) 논의 영역 \(D\)가 정수 집합(\(\mathbb{R}\))일 때
      • \(P(x)\): \(x\)는 실수이다. \(\exists x P(x)\): \(T\)
      • \(P(x)\): \(x\)​는 허수이다. \(\exists x P(x)\): \(F\)​
  • 한정자와 논리곱, 논리합
    • 논리곱: \(\forall x(P(x) \land Q(x)) \equiv \forall x P(x) \land \forall x Q(x)\)
    • 논리합: \(\exists x(P(x) \lor Q(x)) \equiv \exists x P(x) \lor \exists Q(x)\)
  • 한정자와 부정
    • $\neg(\forall x P(x)) \equiv \exists x(\neg P(x))$
    • $\neg(\exists x P(x)) \equiv \forall x(\neg P(x))$
    • 예) \(D\): 과일, \(P(x)\): 이 상자에 있는 \(x\)는 사과이다.
      • \(\forall x P(x)\): 이 상자에 있는 모든 과일은 사과이다.
        • \(\exists x(\neg P(x))\): 이 상자에 있는 어떤 과일은 사과가 아니다.
      • \(\exists x P(x)\): 이 상자에 있는 어떤 과일은 사과이다.
        • \(\forall x(\neg P(x))\): 이 상자에 있는 모든 과일은 사과가 아니다.

7. 추론

  • 추론(inference), 논증(reasoning)
    • 참인 명제를 근거로 하여 다른 명제가 참임을 유도하는 과정
  • 전체(hypothesis)와 결론(conclusion)
    • 전제: 결론의 근거가 되는 참인 명제
    • 결론: 주어진 전제에 의해 유도된 최종적인 참인 명제

유효 추론과 허위 추론

  • 유효 추론(valid inference)
    • 진리값이 참인 전제를 이용해 유도한 결론이 모두 참인 추론
    • 예)

      1. 모든 A는 B이다. X는 A이다. 그러므로 X는 B이다.
        • 예: 모든 사람은 동물이다. 철수는 사람이다. 따라서 철수는 동물이다.
      2. A가 B와 C에 모두 속한다. 그러므로 A는 B와 C가 같다.
        • 예: 사과는 과일이며 책상 위에 있다. 따라서 사과는 과일이자 책상 위에 있다.
      3. A가 B에 속하고 B가 C에 속한다면, A는 C에 속한다.
        • 예: 강아지는 동물에 속하고 동물은 생물에 속한다. 따라서 강아지는 생물에 속한다.
      4. A와 B가 동등하다면, B와 C가 동등하면 A와 C도 동등하다.
        • 예: 2는 4와 동등하고 4는 6과 동등하다면, 2는 6과 동등하다.
      5. 일반화된 패턴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추론.

        • 예: 모든 포유류는 동물이다. 고양이는 포유류이다. 따라서 고양이는 동물이다.
      6. A면 B이다. A는 참이다. 그러므로 B는 참이다.
        • 예: 철수가 성인이면 철수는 주민등록증이 있다., 철수는 성인이다. 따라서 철수는 주민등록증이 있다.
        • 추론

          \[\begin{align*} & p \rightarrow q\\ & p\\ & \;\;\;\;\therefore q \end{align*}\]
        • 진리표

          \[\begin{array}{|c c|c|} p\rightarrow q & p & q\\ \hline T & T & T\\ F & T & F\\ T & F & T\\ T & F & F\\ \end{array}\]
          • 두 전제 \(p \rightarrow q\)와 \(p\)가 \(T\)일 때, 결론 \(q\)는 \(T\)​
          • 따라서 추론은 유효
  • 허위 추론(fallacious inference)
    • 진리값이 참인 전제를 이용해 유도한 결론이 거짓인 추론
    • 예)
      • 철수가 중학생이면 청소년이다. 철수는 청소년이다. 따라서 철수는 중학생이다.
      • 추론

        \[\begin{align*} & p \rightarrow q\\ & q\\ & \;\;\;\;\therefore p \end{align*}\]
      • 진리표

        \[\begin{array}{|c c|c|} p\rightarrow q & q & p\\ \hline T & T & T\\ F & F & T\\ T & T & F\\ T & F & F\\ \end{array}\]
        • 두 전제 \(p \rightarrow q\)와 \(q\)가 \(T\)일 때, 결론 \(p\)는 \(T\)이거나 \(F\)

        • 따라서 추론은 허위

논리적 추론법칙

논리곱(conjunction)

  • 추론 \(\begin{align*} & p\\ & q\\ & \;\;\;\;\therefore p \land q \end{align*}\)

  • 항진 명제

    \[(p \land q) \rightarrow (p\land q)\]

선언적 부가(disjunctive addition)

  • 추론 \(\begin{align*} & p\\ & \;\;\;\;\therefore p \lor q \end{align*}\)

  • 항진 명제

    \[p \rightarrow (p \lor q)\]

단순화(simplication)

  • 추론 \(\begin{align*} & p \land q\\ & \;\;\;\;\therefore p(\text{or}\;q) \end{align*}\)

  • 항진 명제

    \[(p \land q) \rightarrow p(\text{or}\;q)\]

긍정논법(modus ponens)

  • 추론 \(\begin{align*} & p\\ & p \rightarrow q\\ & \;\;\;\;\therefore q \end{align*}\)

  • 항진 명제

    \[\left\{ p \land (p \rightarrow q) \right\} \rightarrow q\]

부정논법(modus tollens)

  • 추론 \(\begin{align*} & \neg q\\ & p \rightarrow q\\ & \;\;\;\;\therefore \neg p \end{align*}\)

  • 항진 명제

    \[\]

선언적 삼단논법, 소거(disjunctive syllogism)

  • 추론 \(\begin{align*} & p \lor q\\ & \neg q\\ & \;\;\;\;\therefore p \end{align*}\)

  • 항진 명제

    \[\left\{ (p \lor q) \land \neg q \right\} \rightarrow p\]

가설적 삼단논법, 추이(hypothetical syllogism)

  • 추론 \(\begin{align*} & p \rightarrow q\\ & q \rightarrow r\\ & \;\;\;\;\therefore p \rightarrow r \end{align*}\)

  • 항진 명제

    \[\left\{ (p \rightarrow q) \land (q \rightarrow r) \right\} \rightarrow (p \rightarrow r)\]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