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

이산수학 4. 집합

1. 집합의 개념

  • 집합(set, \(A\)): 명확한 기준에 따라 공통 성질을 가지며 중복되지 않는 원소의 모임
    • 유한집합(finite set): 원소의 개수가 유한개인 집합
    • 무한집합(infinite set): 원소의 개수가 무한한 집합
  • 집합의 표기방식
    • 원소 나열법: 원소를 일일이 나열
      • 예) \(A = \{1, 2, 3, 4, 5\}\)
    • 조건 제시법: 원소들의 공통 성질을 조건식으로 제시
      • 예) \(A=\{x \mid 0 \lt x \le 7, x \in \mathbb{R}\}\)
    • 벤 다이어그램: 포함 관계를 그림으로 보여주는 방법
  • 기수(cardinality, \(\vert A \vert\)): 집합 \(A\)에 포함되는 원소의 개수
  • 집합에 대한 원소의 포함관계
    • \(a \in A\): \(a\)가 \(A\)의 원소이다.
    • \(a \notin A\): \(a\)가 \(A\)의 원소가 아니다.

2. 집합의 종류

  • 전체집합(universal set, \(U\)): 원소 전체를 포함하는 집합
  • 공집합(empty set, \(\varnothing\)): 원소가 없는 집합, \(\vert\varnothing\vert=0\)
  • 상등(equal, \(A = B\)​), 두 집합에 속하는 원소가 모두 동일
  • 부분집합(subset, \(A \subseteq B\)): \(A\)의 모든 원소가 \(B\)​에 포함될 때
  • 진부분집합(proper subset, \(A \subset B\)): \(A\)가 \(B\)의 부분집합이지만 상등이 아닐 때
  • 집합 간의 포함관계
    • 모든 집합 \(A\)에 대하여, \(A \subseteq A\)
    • 모든 집합 \(A\)에 대하여, \(\varnothing \subseteq A\)
    • 모든 집합 \(A\)에 대하여, \(A \subseteq U\)
    • 집합 \(A\), \(B\), \(C\)에 대하여, \(A \subseteq B\)이고 \(B \subseteq C\)이면 \(A \subseteq C\)
    • 집합 \(A\), \(B\)에 대하여, \(A=B \Leftrightarrow (A \subseteq B) \land (B \subseteq A)\)

3. 집합의 연산

  • 합집합(union, \(A \cup B\)): \(A\) 또는 \(B\)에 속하는 원소들로 이루어진 집합
  • 교집합(intersection, \(A \cap B\)): \(A\)와 \(B\) 모두에 속하는 원소들로 이루어진 집합
  • 서로소(disjoint): 두 집합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원소가 없는 경우
    • 교집합이 공집합, \(A \cap B = \varnothing\)​
  • 여집합(complement set, \(\bar{A}\) 또는 \(A^\prime\)): \(U\)에는 포함되지만 \(A\)는 포함되지 않는 원소들의 집합
  • 차집합(difference, \(A - B\)): \(A\)는 포함되지만 \(B\)에는 포함되지 않는 원소들의 잡합
    • $A \cap (A \cap B)^C$
  • 대칭차집합(symmetric difference, \(A \oplus B\)): \(A\)에만 포함되거나 \(B\)에만 포함되는 원소들의 집합
    • $(A - B) \cup (B - A)$
  • 곱집합(product set, \(A \times B\)): \(a \in A\), \(b \in B\)일 때, 순서상 \((a, b)\)​의 집합
  • 멱집합(power set, \(P(A)\)): 가능한 모든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, 공집합 포함
  • 집합의 기수
    • 합집합: \(\vert A \cup B \vert = \vert A \vert + \vert B \vert - \vert A \cap B \vert\)​
      • 서로소인 경우, \(\vert A \cup B \vert = \vert A \vert + \vert B \vert\)​
      • 집합이 3개인 경우: \(\vert A \cup B \cup C \vert = \vert A \vert + \vert B \vert + \vert C \vert - \vert A \cap B \vert - \vert A \cap C \vert - \vert B \cap C \vert + \vert A \cap B \cap C \vert\)
    • 교집합: \(\vert A \cap B \vert = \vert A \vert + \vert B \vert - \vert A \cup B \vert\)
      • 집합이 3개인 경우: \(\vert A \cap B \cap C \vert = \vert A \vert + \vert B \vert + \vert C \vert - \vert A \cup B \vert - \vert A \cup C \vert - \vert B \cup C \vert + \vert A \cup B \cup C \vert\)​
    • 차집합: \(\vert A - B \vert = \vert A \vert - \vert A \cap B \vert\)
    • 대칭차집합: \(\vert A \oplus B \vert = \vert A \cup B \vert - \vert A \cap B \vert\)​
    • 곱집합: \(\vert A \times B \vert = \vert A \vert \times \vert B \vert\)
    • 멱집합: \(\vert P(A) \vert = 2^n\)

4. 집합의 대수법칙

항등법칙 (Identity Laws)

  • 합집합의 항등법칙: \(A \cup \varnothing = A\)
  • 교집합의 항등법칙: \(A \cap U = A\)

지배법칙 (Domination Laws)

  • 합집합의 지배법칙: \(A \cup U = U\)
  • 교집합의 지배법칙: \(A \cap \varnothing = \varnothing\)

멱등법칙 (Idempotent Laws)

  • 합집합의 멱등법칙: \(A \cup A = A\)
  • 교집합의 멱등법칙: \(A \cap A = A\)

교환법칙 (Commutative Laws)

  • 합집합의 교환법칙: \(A \cup B = B \cup A\)
  • 교집합의 교환법칙: \(A \cap B = B \cap A\)

결합법칙 (Associative Laws)

  • 합집합의 결합법칙: \(A \cup (B \cup C) = (A \cup B) \cup C\)
  • 교집합의 결합법칙: \(A \cap (B \cap C) = (A \cap B) \cap C\)

분배법칙 (Distributive Laws)

  • 합집합에 대한 분배법칙: \(A \cup (B \cap C) = (A \cup B) \cap (A \cup C)\)
  • 교집합에 대한 분배법칙: \(A \cap (B \cup C) = (A \cap B) \cup (A \cap C)\)

이중 보법칙 (Double Complement Laws)

  • $\bar{\bar{A}} = A$

보법칙 (Complement Laws)

  • \(A \cup \bar{A} = U\), \(\bar{\varnothing} = U\)
  • \(A \cap \bar{A} = \varnothing\), \(\bar{U} = \varnothing\)

드 모르간의 법칙 (De Morgan’s Laws)

  • 합집합에 대한 드 모르간의 법칙: \(\overline{A \cup B} = \bar{A} \cap \bar{B}\)
  • 교집합에 대한 드 모르간의 법칙: \(\overline{A \cap B} = \bar{A} \cup \bar{B}\)

흡수법칙 (Absorption Laws)

  • 합집합의 흡수법칙: \(A \cup (A \cap B) = A\)
  • 교집합의 흡수법칙: \(A \cap (A \cup B) = A\)

5. 집합의 분할

  • 분할(partition, \(A = \{A_1, A_2, \cdots, A_n\}\)): 공집합이 아닌 집합 \(A\)를 서로소이면서 공집합이 아닌 하나 이상의 부분집합으로 나누는 것
    • 분할의 조건
      • $A_i \neq \varnothing$
      • \(i \neq j\)이면, \(A_i \cap A_j = \varnothing\)
      • $A_i \subseteq A$
      • $A = A_1 \cup A_2 \cup \cdots \cup A_n$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